환경경제 성장으로 일자리 창출 |
1. 다양한 근로형태의 공공 일자리 창출 |
- 중기인력운영계획 수립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
-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 제고
- 청년고용 확대 및 고용 안정화
|
2. 전사적 차원의 민간 일자리 창출 |
- 환경기업 성장 지원을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
-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한 환경서비스 일자리 창출
|
3. 민간 일자리 근로의 질적 향상 지원 |
- 전문인력 양성 및 우수기업으로 인력매칭 강화
- 환경일자리 으뜸기업 근로환경개선 지원
- 고용이 안정화된 좋은 일자리 창출
|
환경약자 보호와 균등한 사회 조성 |
4. 사회적 약자 우대 제도 강화 |
- 인사채용의 공정성·전문성 강화
- 성, 학력 등을 초월한 공정한 인사
- 경력단절자 여성의 채용 강화
- 지역인재 채용 강화
|
5. 환경약자 환경 평등권 보장 |
- 민감‧취약계층 생활환경 개선 및 환경성 질환 진료지원
- 어린이 활동 공간 점검 및 환경 안심 인증 부여
- 어린이 환경 질환 사전예방을 위한 환경보건 관리체계 구축
|
6. 환경오염 피해자 발굴 및 지원 |
- 환경오염 피해자 취약계층 지원 강화
-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맞춤형 건강·법률 상담 제공
- 가습기살균제 피해지원 서류발급 서비스 강화
- 석면 피해자 발굴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 추진
- 지역병원과 협업하여 요양급여 후불 서비스 제공
|
국민참여 안전관리 및 환경 보전
|
7. 재난∙사고로 부터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 |
- 재난‧안전사고 예방 작업환경
- 위험을 책임지는 안전협력 구축
- 안전문화 확산 및 안전인식 내재화
- 사이버 안전 위한 정보보안 관리
|
8. 국민이 안전한 생활 환경 조성 |
- 국민이 필요로 하는 재난안전 기술개발 및 활용
- 불법 코로나19 예방 생활화학제품의 유통차단
-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관리 강화
- 폭염·한파로 인한 취약계층 피해 예방·저감
- 국민이 필요로 하는 인증 제품군 발굴 및 기준개발
- 환경피해 안심사회 구축을 위한 선제적 피해구제 체계 강화
|
9. 환경보전 및 환경공헌 활동 강화 |
- 개도국 환경개선 지원
- 민간기업 친환경경영 참여로 환경오염물질 배출 저감
- 전국민이 참여하는 친환경생활 실천으로 온실가스 저감
- 전직원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실천 활동 및 캠페인
- 환경산업연구단지 신재생에너지 그린파크 조성
|
지역과 함께하는 상생‧협력 발전
|
10. 국민이 체감하는 지역현안해결 및 지역사회 발전 |
- 지역주민이 참여한 지역발전 전략
- 지역사회와 환경협력활동 확산
- 협력·위탁업체와 소통 강화로 공정경제 질서 확립
- 지역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국민참여 환경 R&D 추진
- 그린뉴딜 도시개발로 지역사회 탄소중립 실천
|
11. 환경기업과의 상생∙협력 발전 |
- 그린뉴딜형 창업기업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
- 중소기업의 코로나19 애로사항 해소
- 환경분야 대·중소기업 동반성장으로 해외진출
- 중소기업 신사업 발굴‧수주를 위한 글로벌 협력 강화
-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기술 확보 지원
|
12. 사회적 경제기업 지원 인프라 확대 운영 |
- 사회적경제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지원
-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판로확대
- 사회적경제기업 환경인증 취득지원으로 동반성장
- 사회적경제기업과 함께하는 전직원 기부활동
|
인권존중 실천과 클린경영
|
13. 윤리경영 및 투명성 강화 |
- 소통 활성화로 청렴문화 정착 및 확산
- 반부패·청렴 추진기반 공고화
- 체계적인 기록물 관리로 투명성 제고
|
14. 내부견제 활동 강화로 자율∙책임 경영 실천 |
- 예방 중심의 부패차단 활동 강화
- 범정부 반부패 정책 이행
- 기관 부패취약업무 관리 강화
|
15. 인권존중을 위한 인권경영 제도 정착 |
-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중장기적 인권경영 체계 구축
- 직종 간 협력‧상생을 통한 합리적 노사관계 정착
- 일∙가정 양립을 통한 워라벨 정착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