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야 | 7개 프로젝트 |
---|---|
가연성 폐자원 |
|
유기성 폐자원 |
|
구분 | 과제정의 | |
---|---|---|
추진방식 | 통합형 과제 | “총괄과제”와 “세부과제”로 구성·수행되는 단위과제 |
추진단계 | 실용화 |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|
실증화 | 개발된 기술의 실증설비 적용을 위하여 최적화·규모확장 및 주변기술 확보 등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과제 |
오른쪽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업별 관련 웹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습니다. 연구비 종합 관리 시스템 Eco-PLUS 연구관리시스템
분야 | 주요내용 |
---|---|
대기환경정책 대응기술 | 광화학 오염 관리 기반기술, 규제 강화 유해대기오염물질 통합 관리체계 및 정책기반 구축, 대기생활환경오염원 통합관리체계 구축,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한 대기오염물질 탐지 알고리즘 개발 |
물환경정책 대응기술 | 비점 오염원 유입 방지 기술, 비점 오염원 저감 기술,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평가 기술, 하천 수질 모니터링 및 오염방지 기술, 지속가능 물순환 시스템 구축, 가축분뇨 처리기술 |
상하수도정책 대응기술 | 하수관거 관리효율화 기술, 수질 개선을 위한 공공처리시설 개선과 시스템 제고 |
자원순환정책 대응기술 | 친환경 포장 설계기준 개발, 폐기물의 수거 및 운송기술 개발, 폐기물 처리시설의 운영 및 고도화 기술 개발 |
자연보전정책 대응기술 | 도시생태계 기능회복을 위한 생태 네트워크 조성 및 복원기술 개발, 육상생태계 생태통로 및 서식지 조성기술 개발, 하천 및 호소생태계 생물 다양성 증진 및 관리기술 개발 |
(다부처공동)신재생하이브리드 | 신재생 하이브리드이용 미래에너지 저장기술개발로써 폐기물 이용 고효율 고온스팀 생산 및 활용기술 개발 |
(다부처공동)음식물쓰레기 | 음식물쓰레기 친환경 적정처리 및 최적 자원화 기술개발, 관련법제도 개선 및 모니터링을 통한 시설 최적화 등 관련 기술개발 |
추진단계 | 추진방식 | 공모구분 | 과제정의 |
---|---|---|---|
공공활용 (Test-bed) |
연구단/통합 | 지정 | 개발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공공정책 수요 기반의 대규모 R&D 실증 플랜트(Test-bed)를 구축함으로써 실규모에서 운영실적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는 과제 |
공공활용 | 연구단/통합/개별 | 지정 | 정부, 지자체 등의 정책수요 기술의 공공활용, 제도 개선을 목표로 대학, 기업이 참여하여 추진하는 기술개발 과제 |
원천기술 | ERL | 자유 | 환경산업의 요체가 될 수 있는 첨단 환경기술 연구 또는 정책 활용 등 공공 성격의 연구로써 대학, 출연연, 기타 비영리 연구소의 실험실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원천연구 과제 |
혁신도약 | 자유 | 혁신적 R&D 성과 창출을 위해 학문적 발전, 공공복리 증진 및 신 산업군 창출 등 고위험의 창의적 과제를 발굴하여 R&D 지원 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제재조치평가단:참여제한 및 환수에 관한사항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추적평가위원회:연구개발 결과의 활용 , 신태 추적 조사/평가
기술연구회:연도별사업기회의 신규과제 RFP 작성
평가위원회:과제의선정,평가 관련 전문적 심의
연구장비심사평가단:연구장비구축의 타당성검토
위탁기관 : 위탁과제수행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오른쪽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업별 관련 웹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습니다. 연구비 종합 관리 시스템 Eco-PLUS 연구관리시스템
분야명 | 주요내용 |
---|---|
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| 생태계교란 생물 포함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을 대상으로 IT 기반의 모니터링, 확산 및 생태계 변화 예측 기술,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을 위한 정량적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|
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제거 기술 개발 | 국내 유입된 외래생물로 인한 생태계 안정성 훼손 및 생물다양성 손실 저감을 위한 생태계 교란 생물 종별 맞춤형 제거 기술 개발 |
구분 | 과제정의 |
---|---|
공공활용 | 정부, 지자체 등의 정책수요 기술의 공공활용, 제도개선을 목표로 대학·출연연, 기업 등이 참여하여 추진 |
실용화 | 기업이 참여하여 기술개발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과제 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오른쪽 홈페이지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업별 관련 웹사이트에 방문할 수 있습니다. 연구비 종합 관리 시스템 Eco-PLUS 연구관리시스템
분야 | 1단계 ('08 ~ '11) | 2단계 ('12 ~ '14) | 3단계 ('15 ~ '17)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본목표 | 우리나라 토양·지하수 환경시장의 90% 이상을 국내기술로 대체 | 요소기술 개발 | 현장기술 개발 | 통합관리기반 구축 | |
투자액(억원) | 계 | 1,631 | 758 | 558 | 315 |
정부 | 1,397 | 649 | 478 | 270 | |
민간 | 234 | 109 | 80 | 45 |
1단계(08~11) | 2단계(12~14) | 3단계(15~17) | |
---|---|---|---|
요소기술개발 | 현장기술개발 | 통합관리기반구축 | |
중점목표 |
|
|
|
단계별 성과지표 |
|
|
|
기술 수준 향상도 | 60% | 80% | 90% 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
사업단위 | 분야 | 세부기술 |
---|---|---|
CO2 저장 환경관리 기술개발사업 | CO2 거동 및 누출평가 | 지하 인공누출 장치와 모니터링 시설 등을 설치 후 CO2 누출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· 관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 |
CO2 저장 환경 위해성 평가·관리 | CO2 누출에 의한 환경영향을 조기에 탐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염원의 종류와 기준을 확립하고 평가·저감 기술 개발 | |
CO2 저장 환경관리 실증 | 국내에서 추진하는 주입실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개발 중인 환경관리 기술의 현장 실증 | |
CO2 저장 환경영향 평가· 관리 기반구축 | CO2 저장사업 추진과 관련한 법·제도를 정비하고 위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 |
세부기술별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장기(21년~30년) | 총 예산 계획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환경부 | co2 저장 환경관리 평가 기술 | CO2거동 및 누출 평가 | CO2누출감지 요소기술 개발 | CO2누출감지 요소기술 현장실습 | 저장부지 지속적 누출 모니터링 수행 | 413억원 | ||||||
CO2저장 환경 위해성 평가ㆍ관리 | 환경영향 식별/평가/저감기술 | 부문별(토양/지하수/생태계/인체/환경영향 식별 평가/저감기술 현장실증 및 적용) | ||||||||||
CO2저장 환경 관리 실증 | 저장부지 환경성 평가 기반 구축 | 지하수/토양/환경영향 모니터링 및 위해성평가 실증 및 현장적용 | ||||||||||
CO2저장 환경 관리 기반 구축 | CCS 저장소 운영을 위한 법ㆍ제도 기반 CCS 전과정 안정관리체계 확보 CCS 환경위해 소통체계 구축 | 대국민 이해도 확보 및 CO2 저장 프로젝트 성공적 수행 |
과제담당관 : 개발사업과 환경정책연계
분야별 평가위원회,총괄조정위원회 : 과제의 선정,평가관련 전문적 심의
행정위원회:이의신청,기술료분쟁심의
제재조치평가단 : 제재조치 및 환수 심의
참여기업:연구참여 및 성과활용
위탁연구기관 : 위탁과제수행